본문 바로가기

공연ㆍ전시

2025년 08월 23일~24일 주말 서울 공연/전시 모음

반응형

[서울] 더 글로리어스 월드

기간: 2025년 04월 22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충무아트센터 갤러리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387 충무아트센터 갤러리

장르: 전시

가격: 성인/청소년/어린이 공통 : 16,000원 * 24개월 미만 무료 입장

문의: 02-2230-6600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차미

기간: 2025년 05월 29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티오엠씨어터(구. 문화공간필링) 1관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8가길 85 티오엠 씨어터

장르: 뮤지컬/오페라

가격: R석 70,000원, S석 50,000원

문의: 1577-3363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머피

기간: 2025년 06월 03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예그린씨어터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130-5 예그린씨어터

장르: 뮤지컬/오페라

가격: 전석 60,000원

문의: 1577-3363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기간: 2025년 06월 13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코엑스 신한카드 아티움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513 코엑스아트홀

장르: 뮤지컬/오페라

가격: OP석 130,000원, VIP석 130,000원, R석 110,000원, S석 80,000원, A석 60,000원

문의: ㈜라이브러리컴퍼니 070-4190-1289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뮤직쇼 <트롯열차>

기간: 2025년 06월 20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CGV [피카디리 1958]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VIP 14만원 / R 11만원

문의: 010-3045-1958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AT THE EDGE OF NIGHT

기간: 2025년 06월 21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갤러리세줄

장르: 전시

가격: 무료

문의: 02-391-9171

내용:

손정기 작가의 《At the Edge of Night》는 고요한 자연 풍경 속에서 인간 존재가 마주하는 내면의
시간을 포착합니다. 적막한 겨울의 장면과 광활한 풍경 속 인물의 뒷모습은 단순한 외로움이 아닌,
묵묵히 자신을 돌아보는 사유의 태도를 상징합니다.

작가는 ‘자발적 고독’이라는 개념을 통해, 일상 속에서 놓치기 쉬운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수 있는
여백을 마련합니다. 그의 회화는 말없이 머물 수 있는 공간을 열어주며, 관람자에게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조용한 발판이 되어줍니다.

《At the Edge of Night》은 하루의 끝, 삶의 경계에 선 순간에 비로소 찾아오는 침묵과 성찰의 시간을
시각적으로 제안합니다.삶의 속도를 잠시 늦추고, 자신과 마주하는 시간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손정기 작가의 새로운 시도에 많은 관심 바랍니다.

 class=
 class=
 class=
 class=
 class=
 class=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서울 송파] 정글북

기간: 2025년 07월 08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올림픽공원 우리금융아트홀(역도경기장)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올림픽공원

장르: 뮤지컬/오페라

가격: VIP석 77,000원, R석 66,000원, S석 55,000원

문의: 02-721-7609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뮤지컬 <헬로카봇> 스페셜 시즌9 - 전설의 용사를 찾아서

기간: 2025년 07월 26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백암아트홀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13길 7 백암아트센터

장르: 아동/가족

가격: R석 77,000원 / S석 66,000원

문의: 02-3144-0801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서울 금천] 라푼젤

기간: 2025년 07월 26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레미어린이극장 [금천]

주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두산로 71 3층 레미어린이극장

장르: 뮤지컬/오페라

가격: 전석 17,000원

문의: 02-868-5961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The Garden of Forking Paths

기간: 2025년 07월 31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가나아트

장르: 전시

가격: 무료

문의: 02-720-1020

내용:

가나아트는 서로 다른 영역이 교차하는 경계 지점을 조명하는 작가들의 그룹전 《The Garden of Forking Paths》를 개최한다. 전시명은 보르헤스의 소설 ‘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들이 있는 정원’에서 차용한 것으로, 소설은 시간이 선형적으로 흐르지 않으며, 세상은 수많은 선택과 그로 인한 결과들이 중첩된 복합적 구조임을 시사한다. 구기정, 서동욱, 송수민, 정소영, 4인의 작가는 현실의 층위를 단일한 시각으로 환원할 수 없는 다층적 구조로 이해하며, 자연과 기술, 고립과 관계, 일상과 재난, 과거와 현재의 접점을 탐색한다.

구기정은 실재와 가상이 중첩된 이미지를 통해 인간이 자연을 인식하고 재현하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서동욱은 고립된 현대인의 초상을 그려내며, 동시에 외로움과 공허를 채우려는 인간의 복합적인 심리를 묘사한다. 송수민은 재난과 일상이라는 이질적인 풍경을 병치시킨 회화를 통해 개인적 삶과 사회적 위기가 교차하는 풍경을 선보인다. 정소영은 인간이 구획한 영토와 그 안에 축적된 시간의 흔적에 주목하며, 지질학적 탐사와 지정학적 서사를 넘나드는 작업을 전개한다.

전시는 두 개의 입구에서 시작되며, 관람자는 송수민과 서동욱의 작업이 있는 후문과 구기정의 작품이 자리한 정문 중 하나를 선택해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두 동선이 만나는 전시장 중앙에는 정소영의 작업이 놓여 경계에 대한 사유를 제안한다. 각 작업은 현실의 서로 다른 단면을 비추며, 전시장 안의 모든 장면은 하나의 이야기이자 또 다른 이야기의 시작점이 된다. 전시는 단일한 해석으로 환원되지 않고, 다양한 해석의 갈래가 공존하는 보르헤스의 소설 속 정원으로서 작동한다. 현실은 언제나 ‘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들’ 위에 있으며, 이 전시는 그 다층적 경로를 따라가는 하나의 시도이다.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PYO SELECTION

기간: 2025년 08월 01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표갤러리

장르: 전시

가격: 무료

문의: 02-543-7337

내용:

표갤러리는 2025년 8월 1일 ? 8월 23일 전을 개최한다.


김미로, 안소현, 유지희, 이준원, 정연경, 정해민은 각기 다른 매체와 고유의 조형 언어를 바탕으로 지금 이 시대의 예술적 질문을 던진다. 본 전시는 다섯 작가가 각자의 서사로부터 출발해 하나의 공간에서 교차하는 지점을 포착하며 감정과 사유, 기억과 환상, 현실과 가상이 중첩되는 감각의 지형을 펼쳐 보인다.


김미로는 판화와 콜라주를 기반으로 자연의 형상과 한국적 정서를 재해석하며 정제된 조형성과 서정적 리듬을 동시에 드러낸다. 안소현은 일상의 풍경을 따뜻하고 몽환적인 시선으로 재구성하며 익숙한 장면에 스며든 환상적 감수성을 끌어올린다. 유지희 작가의 반추상 프레임 회화는 자연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다양한 장소와 시간을 화면위에 재구성한 사색의 풍경을 선사한다. 이준원은 즉흥적인 붓질과 자유로운 형상을 통해 인간과 신화의 원형적 에너지를 탐구하고 정연경은 자연철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생성과 소멸, 시간의 미묘한 결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정해민은 디지털 이미지와 수작업을 결합하여 가상과 현실의 경계를 유연하게 넘나들며 시각적 감각의 확장을 시도한다.


각기 다른 세계관과 조형 방식을 지닌 이들의 작업은 전시 공간 안에서 교차하고 공명하며 다층적인 미적 경험을 생성한다. 은 작가들이 축적해온 예술적 여정의 한 단면이자 동시대 미술의 스펙트럼이 입체적으로 드러나는 장면이다. 관객은 이들이 제시하는 상이한 시선과 언어를 따라 경계 너머로 확장되는 오늘의 예술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2025 예술의전당 어린이 가족 페스티벌 <달샤베트>

기간: 2025년 08월 01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예술의전당 [서울] 자유소극장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예술의전당

장르: 아동/가족

가격: 일반석 4만원

문의: 1668-1352

내용: ‘아주 무더운 여름날 밤. 달이 녹으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라는 상상에서 출발한 작품으로, 백희나 작가의 그림책 <달샤베트>를 원작으로 한 뮤지컬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유지희 개인전

기간: 2025년 08월 05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청화랑

장르: 전시

가격: 무료

문의: 02-543-1663

내용:

유영하는 풍경

전시제목: 유지희 개인전 <유영하는 풍경>

전시기간: 2025.8.5- 8.23

전시장소: 서울 강남구 삼성로 147길 4, 청화랑

작품문의: 02 543 1663, office@chungartgallery.com

청화랑은 8월 전시로 유지희 개인전: 유영하는 풍경 을 개최합니다.

88년생 유지희 작가는 홍대 회화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회회과를 전공하였습니다. 청소년기 가족을 따라 해외살이를 해야했던 유지희 작가는 드넓은 자연에서 위로받고 평온했던 순간을 본인만의 반추상 방식으로 풀어냅니다. 푸르름이 가득한 작가의 작품에는 풀냄새, 나무냄새, 물과 바람, 자연이 느껴집니다. 관람자의 시각과 기분에 따라 물이되기도, 나뭇잎이 되기도 , 깊은 숲 속과 바람이 되기도 합니다. 생명력이 느껴지는 작가의 작품은 도심에서 생활하는 현대인에게 휴식 같은 시간을 선사합니다. 이번 8월 개인전을 위해 늦여름과 초가을에 어울리는 작품 스무점이 출품되었습니다. 작가의 작품속에서 자연의 향기를 느껴보시고, 마치 자연속으로 들어온 듯 평온한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바람에 흔들리는 물결과 반영된 이미지들이 주는 추상적 색채와 형태에 매료되었던 순간을 시작으로 구상과 추상을 넘나드는 회화작업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끊임없이 움직이는 물의 이미지는 반복적으로 겹쳐올리는 물감과 색채의 붓터치, 리듬으로 표현됩니다. 물결 위로 투영된 풍경의 이미지들이 뒤섞이는 화면을 만들어내고 고정되지 않는 자연풍경의 순간을 캔버스 위에 붙잡아둡니다.

감각적 표현에 집중한 추상작품은 물 아래의 풍경과 물결, 수면에 비춰진 풍경이 보여주는 세가지 다른 이미지들의 겹침을 보여줍니다. 붓터치가 물결처럼 움직이고 바람에 흔들리는 잎사귀가 주는 형태와 리듬은 보는 이의 내면 속 자연의 기억과 감각을 불러일으킵니다. 화면 위를 떠다니는듯한 붓터치는 공기를 따라 흐르고 반복적 리듬이 되어 고요함 속 유동성과 몰입을 유도합니다. 건축적 구조 위로 유영하기도 하는 붓터치들은 프레임이 만들어내는 다층적 구조를 통해 마치 물을 바라보는 풍경처럼 서로 다른 시간대가 겹쳐지며 감각과 기억, 시간과 공간을 투영한 반추상적 풍경화로 재탄생합니다. 유지희 작가노트

 class=
 class=
 class=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눈부신 결의 떨림 The Luminous Tremble

기간: 2025년 08월 08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갤러리 도올

장르: 전시

가격: 무료

문의: 02-739-1405

내용:

작가가 표현한 풍성한 질감의 풍경을 바라보고 있으면, 그의 시선이 단순히 외형에만 머무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형상이 관찰된다는 점에서 시선의 처리가 외형적으로도 중요하겠지만, 다층적인 색감과 근접한 장면 연출을 통해 곳곳을 보여주려는 의도는 단순한 재현을 넘어, 그림 밖의 또 다른 시간성을 드러내고자 함이다.

일상 속 우연히 발견된 장소는 작가에게 감정과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요소였으며, 회화와 연결 지어보면 자연은 작가 자신과 동일시되는 공간, 곧 삶을 되돌아보게 하는 ‘진행형’의 장소로 기능한다. 자연은 그 자체로 거친 생명력을 지니고 있어 모두를 파악할 수 없는 공간이며, 그렇기에 작가에게 자연은 멈춤 없는 찰나의 감각으로 다가온다. 설명할 수 없는 어떤 느낌, 모호한 순간은 결국 풍경으로 변화한다.

작가의 심리적 요인은 작업 전반에 자연스럽게 반영된다. 현실과 이상 사이의 간극 속에서 감정을 확인하고, 체화된 감성을 색채로 쌓아 올린다. 빛과 어둠을 섞어 표현된 풍경은 절묘한 조화를 이루며, 자연스럽게 시선을 끌어당긴다. 흐름을 기반으로 한 표현된 나무와 풀, 그리고 강한 움직임의 파도를 통해 작가의 시점을 드러낸다. 보이는 것 속에서 보이지 않는 것을 유도하는 바람은 작가의 가치관으로 표현되어 화면 위에 안착된다.

아직 완전히 추상으로 나아가지 않았지만, 작가의 사유는 깊어진다. 자신을 객관화하며 현실을 인식하는 공간으로서의 풍경은 작가의 내면을 유유히 채우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는 계기를 만든다. 눈부시게 빛나던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은 풍경 속에서 함께한다.

발견된 장소를 사진으로 담고 평면에 옮기는 과정은 여러 날에 걸쳐 이어지며, 풍경은 또 다른 회화적 요소들과 만난다. 물감을 뿌리고 흩날리게 하며 작가만의 감성을 덧입힌다. 사실적인 재현에서 살짝 벗어난 그 너머의 감성은 회화 속 자연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든다. 현대 회화의 관점에서, 작가의 장면 구성은 다층적이며, 시점은 분명하지만 동시에 모호하고 신비로운 속성을 지닌다.

작가가 그린 그림은 분명 풍경이며, 숲과 하늘, 대지가 포착되지만 동시에 그것은 평면을 덮고 있는 물감층이자 색채의 조화이기도하다. 섬세한 붓질은 작가의 몸을 통해 기록된 흔적으로, 자연을 매개로 확인되는 기억과 경험, 그리고 신체가 반응해 남긴 자국이다. 이는 작가가 마주한 세계에 대한 촉각적 반응이 물질로 완성된 결과이며, 재현이란 결국 이러한 감각을 드러내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그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분명 감성을 요구한다. 때로는 언어로 표현하려 했던 자연의 움직임조차 장면으로 시각화된다. 오늘날의 회화는 그래서 더욱 모호하다. 고정되지 않은 시점은 개인의 삶과 맞물려 유동적으로 움직이며, 시간의 흐름을 전제로 단정할 수 없는 성격 안에서 일상은 채워진다. 비록 찰나일지라도, 내일을 꿈꾸는 열린 시각이 평면 위에 담긴다.

오롯이 '나'로 살아가겠다는 다짐 속에서 이미지는 빛과 색채를 향한 여정으로 이어진다. 작가에게 자연은 현실인 동시에 비현실적 공간이며,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형상은 객관과 주관을 오가며 내면과 어우러져 하나의 그림으로 완성된다.

When looking at the richly textured landscapes painted by MOON Ji Hey, it becomes clear that her gaze goes far beyond the surface. While form and structure matter in the act of observation, her use of layered colors and intimate, close-up compositions reveals her intent to present something more than external appearances―a desire to evoke a different temporality beyond the canvas.

These landscapes, often discovered by chance in everyday life, serve as triggers for the artist’s memories and emotions. In the context of her painting, nature becomes a mirror of the self―an ongoing space that allows for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It is a living, untamed entity, impossible to fully grasp, and thus approaches the artist as a fleeting, unceasing sensation. The ineffable, ambiguous moments are eventually transformed into landscape.

Moon’s psychological experiences are subtly embedded throughout her work. She explores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building her compositions through internalized emotions rendered in color. Landscapes infused with both light and shadow achieve a delicate balance and naturally draw the viewer in. Flowing lines of trees and grass, the dynamic movement of waves―these elements reveal the artist’s perspective. The invisible is implied through the visible, and the presence of wind becomes a metaphor for her values, gently settling into the painted surface.

Though her work has not fully entered the realm of abstraction, Moon’s reflections have deepened. Landscape, as a space to objectify herself and perceive reality, quietly fills her inner world and leads her back to the everyday. The journey to rediscover her radiant self is carried out through the landscape itself.

Her process begins by photographing found locations and transferring them to the canvas over several days. The scenes encounter other painterly elements along the way. Paint is splattered, scattered, and layered with the artist’s unique sensibility. The emotional depth that lies just beyond strict representation makes her landscapes all the more compelling.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painting, Moon’s compositions are multilayered―clear in viewpoint, yet imbued with ambiguity and mystery.

What Moon paints is unmistakably landscape―trees, skies, and earth―but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layered field of color and texture. Her brushstrokes, recorded through the movement of her body, become traces of memory and experience, tactile impressions left in response to nature. Her paintings are thus the material embodiment of how she feels the world, and representation becomes an attempt to reveal those very sensations.

While it may be difficult to articulate exactly what that is, the work undoubtedly appeals to the viewer’s sensibility. Even the movements of nature, which often elude language, are visualized through painted scenes. Painting today is all the more ambiguous. Its fluid and shifting perspectives are intertwined with the rhythms of individual lives, filling the canvas with temporalities that defy fixed conclusions. Even if only for a moment, an open, forward-looking vision is quietly captured.

In Moon’s resolute pursuit of living authentically as herself, her imagery unfolds as a journey toward light and color. Nature, for her, is at once real and surreal. Through it, she embarks on a process of self-discovery, in which forms traverse the boundaries of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converging with the inner self to become a complete image.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갑작 죽음》

기간: 2025년 08월 08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챔버 CHAMBER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 26-6 챔버 chamber

장르: 전시

가격: 무료

문의: 010-4005-1814, chamber1965@naver.com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서울] 위시캣: 소원을 노래해!

기간: 2025년 08월 09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유니버설아트센터

장르: 뮤지컬/오페라

가격: VIP석(1층)석 70,000원, R석(발코니층)석 60,000원

문의: 1577-3363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리가 스푼데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몰라》

기간: 2025년 08월 11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

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덕릉로 257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

장르: 전시

가격: 무료

문의: 창동레지던시 02-995-0995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Object in Transition: 존재와 쓰임의 경계에서

기간: 2025년 08월 11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갤러리 자인제노

장르: 전시

가격: 무료

문의: 02-737-5751

내용:

전시의의

《Object in Transition: 존재와 쓰임의 경계에서》는 전통적 사물의 형태와 기능을 해체하고 재구성함으로써, 사물이 지닌 본질과 존재 조건을 새롭게 탐구하는 전시다. 금속공예의 정밀한 기술과 현대 조형예술의 개념성을 결합하여, 공예와 미술, 기능과 무용(無用)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는 관람자에게 일상 속 사물을 새롭게 인식하게 하며, 사물과 공간, 인간의 관계에 대한 사유를 확장시킨다.

?1. 기능을 넘어선 사물의 재해석

전통 가구, 액자틀, 장식틀 등 익숙한 사물들을 해체하고 기능을 제거하여, 단순한 도구에서 조형적 존재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탐구한다. 이는 사물의 본질을 재질문하고 기능 상실 이후 새롭게 발생하는 감각과 의미를 드러낸다.

?2. 금속공예와 현대 조형예술의 융합

황동과 구리의 질감과 광택을 살린 금속공예 기법은 전통 장인의 기술적 정밀성과 현대미술의 개념적 깊이를 결합한다. 이를 통해 실용과 예술, 공예와 미술의 경계를 허물며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창출한다.

?3. ‘전이’의 철학적 의미 확장

백한승이 말하는 ‘전이’는 단순한 형태 변형이 아닌, 사물의 존재 조건을 새롭게 묻는 철학적 행위다. 기능을 상실한 사물은 공간 속에서 자율성을 획득하며, 관람자로 하여금 기억과 공간, 존재와 쓰임의 관계를 다시금 성찰하게 한다.

?4. 일상 사물에 대한 새로운 시각 제시

익숙했던 사물이 낯선 존재로 변모하는 순간, 관람자는 사물의 존재 이유와 의미를 새롭게 바라보게 된다. 이번 전시는 기능을 넘어선 조형 가능성을 탐구함으로써 관람자의 시각적·개념적 감수성을 확장한다.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대학로] 분홍 나비 프로젝트

기간: 2025년 08월 13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공간아울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20 대학로 공간아울

장르: 연극

가격: 전석 40,000원

문의: 010-3099-0285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제8회 극장동국 연출가전, 옷의 기억

기간: 2025년 08월 13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극장 동국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259 극장동국

장르: 연극

가격: 전석 30,000원

문의: 02-747-5296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공터의 에티켓

기간: 2025년 08월 14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문화공간 iei

장르: 연극

가격: 전석 30,000원

문의: 070-4412-1526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BARIM, THE WHERE IDEAS SING

기간: 2025년 08월 14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어반플루토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로22나길 3-2 어반플루토

장르: 전시

가격: 무료관람

문의: 02-2633-1343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2025 몸짓전

기간: 2025년 08월 15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미마지아트센터 물빛극장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8가길 129 미마지아트센터

장르: 연극

가격: 전석 20,000원

문의: 0507-1380-0090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사회부적격자

기간: 2025년 08월 20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북촌창우극장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길 29-6 북촌창우극장

장르: 연극

가격: 전석 35,000원

문의: 010-7103-5894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대학로] 보명맨숀

기간: 2025년 08월 20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더 씨어터

장르: 연극

가격: 전석 20,000원

문의: 010-3251-3136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제5회 소극장 공유 페스티벌 연극, 생각을 잇-다, 엔피씨: 망캐가 될 순 없어!

기간: 2025년 08월 20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소극장공유(구. 키작은소나무극장)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303 소극장 공유(구.키작은소나무극장)

장르: 연극

가격: 전석 30,000원

문의: 010-4879-0255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대학로] 나무 쏙 이웃집

기간: 2025년 08월 21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아르코 꿈밭극장

장르: 연극

가격: 전석 30,000원

문의: 02-2681-4781 / 010-5717-0680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가장자리

기간: 2025년 08월 21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뜻밖의 극장(구. 해우소소극장)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20나길 27 뜻밖의극장

장르: 연극

가격: 전석 30,000원

문의: 010-8253-3091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대학로] 러브맨

기간: 2025년 08월 21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업스테이지(UP Stage)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41 업스테이지

장르: 연극

가격: 전석 35,000원

문의: 010-3291-1213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노란 빛 사람들

기간: 2025년 08월 21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35길 7 연극실험실 혜화동 1번지

장르: 연극

가격: 전석 20,000원

문의: 010-7136-0882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제트와이 사이42 프로젝트, 프로젝트 사이: 테이블 탑 맥베스

기간: 2025년 08월 21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삼일로창고극장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9길 12 삼일로창고극장

장르: 연극

가격: 전석 20,000원

문의: 010-6395-1054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일무

기간: 2025년 08월 21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세종문화회관 세종대극장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75 세종문화회관

장르: 무용/발레

가격: 스위트석 120,000원 / VIP석 100,000원 / R석 80,000원 / S석 60,000원 / A석 40,000원

문의: 02-399-1000

내용: 국가무형문화재이자 유네스코 지정 인류무형문화유산인 '종묘제례악' 의식무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K-Arts의 정수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LOST IN YONKERS 로스트 인 용커스

기간: 2025년 08월 22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후암스테이지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11길 23 대학로스타시티 빌딩 지하2층

장르: 연극

가격: 전석 10,000원

문의: 010-2702-5497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2025 보훈무용제 '젊은 예인전'

기간: 2025년 08월 22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나루아트센터 소공연장

주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76 나루아트센터

장르: 무용/발레

가격: 전석 20,000원

문의: 사무국 02-588-4262/010-9299-2576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숨, 방울

기간: 2025년 08월 22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극장 PLOT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4길 27 지하1층

장르: 연극

가격: 전석 30,000원

문의: 010-4050-1225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제트와이 사이 프로젝트 뒤집힌 세계, 오아프로젝트 극장 탈출! 우당탕탕 별소동

기간: 2025년 08월 22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서울연극창작센터

장르: 아동/가족

가격: 무료

문의: @oa._.project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대학로] 행복할 때는 하나의 그늘이 행복을 뒤바꾸어놓고

기간: 2025년 08월 22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창조소극장 (구. 민아트홀)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259 2층 창조소극장

장르: 연극

가격: 전석 20,000원

문의: 010-9916-1047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몸짓전, 그 몸, 그 말

기간: 2025년 08월 22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미마지아트센터 물빛극장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8가길 129 미마지아트센터

장르: 무용/발레

가격: 전석 20,000원

문의: 0507-1380-0090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박지은 플루트 독주회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세종문화회관 세종체임버홀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75 세종문화회관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30,000원

문의: 예인예술기획 02-586-0945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쌀롱드무지끄, 이혜전 피아노 독주회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쌀롱드무지끄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 129 2F 쌀롱드무지끄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28,000원

문의: 쌀롱드무지끄 010-8826-8364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악기야놀자: 금관악기편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충무아트센터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387 충무아트센터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35,000원

문의: 02-547-9851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국립발레단 부설 발레아카데미 정기공연: PLIE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서울아트센터 도암홀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문화로 70 서울아트센터

장르: 무용/발레

가격: 1층석 15,000원, 2층석 10,000원

문의: 국립발레단 02-587-6199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토요클래식의밤 해설이 있는 클래식, 피아니스트 백서윤, 플루티스트 김재인의 듀오 리사이틀: 두 사람, 두 세계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콘서트홀 나누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로 66 (망원동) 지하1층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32,000원

문의: 콘서트홀 나누 010-3886-9312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헤르만 기획연주, 플룻 콰르텟 리사이틀: 김세현, 이안아, 박은지, 조한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헤르만아트홀

주소: 서울특별시 성동구 상원6나길 24 지하1층 헤르만 아트홀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30,000원

문의: 02-6212-1747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대학로] This corld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10길 17 대학로 예술극장

장르: 무용/발레

가격: 전석 50,000원

문의: 010-8882-6885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서울(앵콜)] 너의 이름은. 필름 콘서트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스카이아트홀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63길 65 스카이아트홀 B1, B2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VIP석 140,000원, R석 120,000원, S석 100,000원, A석 80,000원, 스크린 시야 차단석 A 30,000원, 스크린 시야 차단석 B 10,000원

문의: 02-540-2706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로제타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31일

장소: 국립극단 [명동] 명동예술극장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길 35 명동예술극장

장르: 연극

가격: R석 60,000원, S석 45,000원

문의: 1644-2003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김시오 개인전 : 시간 사이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9월 12일

장소: 갤러리 일호

장르: 전시

가격: 무료

문의: 02-6014-6677

내용:

? 전시제목: 시간 사이

? 참여작가: 김시오

? 전시기간: 2025. 08. 23 (토) - 09. 12 (금)

? 관람시간: 10:30 - 18:00 (일, 월 휴관)

? 전시장소: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127-2, 갤러리일호

? 작품목록: https://blog.naver.com/galleryilho/223972271654

? 전시개요

「초-일상(超日常)의 정념 : '지금'을 초월하는 방법」 강지민

'초-일상(超日常)'의 정념

쏟아지는 햇살에 부서지는 강물, 뛰노는 아이들이 해질녘 그림자처럼 무럭무럭 자라는 모습, 새들이 푸닥거리는 모양, 커다란 등나무 아래로 떨어지는 빛 방울, 바닷물에 아스러지는 파도에 섞인 갈매기들의 울음. 평범한 모든 순간이 비범하고 찬란하다.

작품은 초현실적인 상상보다는, 익숙한 일상에 대한 감각적 이탈을 시도한다 작가가 포착하는 것은 비일상이 아니라, 지나치게 섬세하게 관찰된 '초-일상(超日常)'의 정념이다. 작품 속 장면은 환상이 아니다. 익숙한 것들이 너무 가까이에서 너무 오래 바라보일 때 드러나는 일종의 감각적 이탈이다.

작가는 어린이의 페르소나로 세계를 마주한다. 그는 빛의 조각들 사이를 유영하며,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존재로서 유니콘의 형상을 따른다. 김시오의 회화는 '비일상'이 아니라, 과하게 섬세하게 포착된 '초-일상'의 정념을 그린다. 그것은 세계를 새롭게 보게 하는 시선이 아니라, 이미 알고 있던 풍경이 느닷없이 낯설게 다가오는 감정의 역류에 가깝다.

감각의 두께, '지금'의 밀도

현실의 시간은 흘러가지만, 감각은 그 순간을 붙들어 맨다. 메를로퐁티는(Maurice Merleau-Ponty) 지각이 단지 외부 세계를 받아들이는 수동적 과정이 아니라, 신체를 매개로 세계와 엮이는 '살(flesh)의 교차점'이라고 보았다. 우리는 세계를 바라보는 주체인 동시에, 세계의 일부로서 감각되는 존재다. 이러한 감각의 상호 얽힘은 어떤 장면이 단순히 '보이는 것'을 넘어서 체험되고, 기억되며, 재구성되는 하나의 '두께'를 형성하게 한다. 

김시오의 회화는 바로 이 두께의 층위를 시각적으로 구현한다. 유니콘이 풀숲을 가로지르고, 아이들이 물속으로 뛰어들며 저녁노을이 수면을 스치는 장면들은 모두 일정한 현실의 궤도에서 살짝 이탈한 상태에 머문다. 그것은 과거의 회상이거나, 현재의 몽상이며, 동시에 지금 이 순간의 감각적 실재다.

2023년 시리즈는 일상적 감각의 흐름을 느슨하게 엮으며, 빛과 움직임의 순환 속에서 감정의 결을 따라간다. 반면 2025년 시리즈에서는 동일한 형상들이 더 응축된 감각의 단층으로 등장한다. 화면의 리듬은 조용하지만, 붓질은 더욱 반복되고, 색채는 중첩을 통해 깊이를 만들어낸다. 감각은 더 이상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응고되고, 뭉쳐지고, 잔존하는 '밀도'로 작동한다. 이는 메를로퐁티가 말한 '보는 자와 보이는 자'의 교차, 신체와 세계의 경계가 흐려지는 '감각의 장'과도 닮아 있다. 김시오의 회화는 바로 그 경계에서 일어나는 감각의 진동을 기록한다. 붓질과 색은 감각의 궤도를 따라 움직이며, 그 궤도는 지각의 시간 ― '지금'의 밀도로 이어진다.

감각으로 짜이는 세계, 회화로 엮이는 현실

김시오의 회화는 단순히 지나간 한순간을 추억하거나, 일상의 정서를 그림으로 번역하는 방식이 아니다. 그의 화면은 감각이 세계를 구성해 내는 과정, 다시 말해 '지각이 곧 세계를 짓는 행위'라는 메를로퐁티의 철학적 통찰을 실감 나게 드러낸다. 퐁티는 세계를 미리 정해진 객관적 구조로 보지 않았다. 오히려 세계는 우리가 감각을 통해 얽히고 스며드는 과정에서 점차 생겨나는 것으로 본다.

이 관점에서 김시오의 회화는 마치 하나의 감각적 사건처럼 작동한다. 별빛이 깔린 수풀 사이를 유영하는 유니콘, 분수처럼 퍼지는 물의 입자들, 어린아이가 줄을 넘으며 손끝으로 밤하늘을 긋는 장면은 모두 현실의 장면이라기보다는 감각의 응축이 만들어낸 또 다른 현실이다.

회화 속 세계는 명확한 인과관계나 시간적 순서를 따르지 않는다. 대신 감각의 선명한 잔향, 지각된 세계의 주관적인 밀도가 하나의 회화적 공간을 만든다. 김시오는 마치 어린아이의 시선처럼, 대상과 배경, 사실과 환상을 구분 짓지 않은 채 세계를 직조한다. 이는 퐁티가 '세계는 하나의 얽힘(chiasm)이다'라고 말한 것처럼, 몸과 세계 지각과 표현이 서로 교차하는 감각적 직조의 장이라 할 수 있다. 결국 김시오의 회화는 '본다'는 것이 단지 재현하거나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와 접촉하고, 그 세계를 감각의 질감으로 구성해 가는 하나의 창조적 행위임을 증명한다.

지금을 짓는 손

김시오의 회화는 순간의 감각을 포착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감각이 지닌 존재론적 밀도를 우리 앞에 펼쳐놓는다. 그것은 특정한 사건도 아니고, 분명한 서사도 아니다. 하지만 분명한 정서의 궤적이 있다. 화면 속 시간은 선형적으로 흐르지 않고, 어느 한 지점에서 감긴 채 빛의 결처럼 맴돈다. 관객은 그 안에서 특정한 '순간'을 본다기보다 감각의 밀도 속에서 머무는 일종의 '지금'을 체험하게 된다.

이 '지금'은 단지 현재라는 시간의 구간이 아니다. 메를로퐁티가 말했듯, 그것은 몸을 통해 세계와 교차하는 지각의 접점이며, 존재가 세계 안에 스며드는 감각의 결절이다. 김시오는 바로 그 접점을 화폭에 불러온다. 회화는 더 이상 현실을 재현하거나 내면을 표출하는 매체가 아니라, 지각이 살아 있는 상태 자체를 보여주는 장(field)으로 기능한다.

'지금'이라는 시간은 이제 회화의 효과가 된다. 빛이 닿아 흘러내리는 색, 그 위에 다시 쌓인 얇은 터치들, 구체적이지만 이름 없는 사물들. 김시오는 말한다. '미래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그의 그림 역시 그렇게 말한다. 이 순간, 이 이미지, 이 장면이 최초이자 마지막이라고.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펑크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31일

장소: KT&G 상상마당 대치아트홀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416 KT&G상상마당 대치아트홀

장르: 뮤지컬/오페라

가격: 전석 30,000원

문의: 02-588-7708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빛과 그림자의 교향시, 건축과 음악의 특별한 만남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30일

장소: 서울숲 스튜디오301

주소: 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숲길 36(성수동1가) 3층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성인 55,000원, 전회차 관람권 110,000원

문의: 010-4891-7483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퐁당퐁당 키즈 클래식 Ⅳ: 퐁당퐁당 동물의 사육제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강동아트센터 대극장 한강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동남로 870 강동아트센터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20,000원

문의: 강동아트센터 02-440-0500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동물농장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성북미디어문화마루 꿈빛극장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로7길 20 서울성북미디어문화마루 4층

장르: 연극

가격: 전석 10,000원

문의: 02-6953-3201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피드백초중고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건국대학교 새천년관 대공연장

주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120 건국대학교 새천년관 대공연장

장르: 무용/발레

가격: VIP석 70,000원, R석 60,000원, S석 50,000원, A석 45,000원

문의: https://www.instagram.com/feedbackkorea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금호영아티스트콘서트, 양수형 트롬본 독주회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금호아트홀 연세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지하 1층 금호아트홀 연세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15,000원

문의: 금호문화재단 02-6303-1977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동방프로젝트 오케스트라 콘서트, Invitation from Gensokyo: Midnight Concerto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KBS홀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3 여의도 KBS홀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R석 11,900원, S석 96,000원, A석 76,000원, B석 48,000원, 피트석 90,000원

문의: 플래직 business@flasic.co.kr / 02-521-4644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홍진선 비올라 독주회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예술의전당 [서울] 리사이틀홀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예술의전당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20,000원

문의: 예인예술기획 02-586-0945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국립국악관현악단, 관현악시리즈 Ⅰ: 어쿠스틱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59 국립극장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R석 40,000원, S석 20,000원

문의: 02-2280-4114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THE VASTNESS 漠 막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9월 27일

장소: 예화랑

장르: 전시

가격: 무료

문의: 02-542-5543

내용:

 class=
DVL8084, 2015 111x148cm, Archival Pigment Print, Ed. of 7+2AP. / DVR8084, 2015 111x148cm, Archival Pigment Print, Ed. of 7+2AP. ⓒKim Woo Young

풍경의 이야기들(The stories of landscape)

김우영은 최근 몇 년간 색채와 구도, 면으로 재해석한 미국 서부의 대로와 그 주변풍경을 어번 오딧세이(Uran Odyssey)시리즈로, 한옥의 주춧돌, 벽면과 기단의 고졸함을 고요의 시학(Poetics of Tranquility) 시리즈로 풀어냈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사막(earth)과 래핑(wrapping), 빌보드(billboard) 시리즈는 앞선 작품들과 시간적으로 앞뒤하면서 영향을 주고받은 작품들이다. 미국 서부 모하비 사막을 통해 쓸쓸하면서도 숭고함의 풍경을, 버려진 가건물을 야광 테이프로 감싼 래핑 시리즈와 흔적이 고고학처럼 남은 빌보드를 통해 삶의 지층을 엿볼 수 있으니 모든 시리즈는 서로 얽혀있는 셈이다.

사막에 대한 소재로서의 흥미로움은 굳이 거론하지 않아도 될 터. 작가에게 사막은 ‘내밀한 은신처이자 인내를 배우는 깨우침의 장소, 영적인 위로와 안식의 집’(신혜경)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사막은 도시 삶과 환경에 극명하게 대비됨으로 인해 흥미롭다. 사막 안에서 우리는 머물러야하고 빛과 색채의 향연을 기다려야 한다. 이 머무름의 시간은 아도르노가 얘기했듯 예술 향유의 필요불가결한 시간 경험이다. 하지만 이는 예술 창작자에게도 대상을 향한 구원과 같은 시간이다. 머무름은 기다림과 다른데 이유는 머무름에는 어떤 결과와 미래의 대상을 기대하지 않기 때문이다. 무위의 산책자 같은 시간 경험인 것이다. 머무름을 사물의 증식에 반대하는 반자본주의적 행위로까지 해석하지만 무엇보다 머무름은 홀림, 어떤 대상에 경도하는 유일무이한 아름다움의 순간이다. 미적 황홀경을 잉태할 수 있는 시간이다. 김우영의 사막은 이러한 머무름의 순간, 영원한 찰나를 표준렌즈로 담았다

 class=
BV4567886, 2016 111x148cm, Archival Pigment Print, Ed. of 7+2AP. ⓒKim Woo Young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속에는 삶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대사가 있다. 우리는 삶에서 늘 두 개의 심연을 동시에 관조해야 하는데 드높은 이상과 고귀함의 심연이 하나이고 가장 저열하고 악취 나는 타락의 심연이 다른 하나다. 이 대사는 김우영이 셔터를 누르기 위해 방랑을 자처하는 삶의 태도와 닮았다. 그가 지구의 속살인 사막을, 대로가 아닌 인적 없는 벌판과 그 위에 뼈처럼 서있는 빌보드와 가건물에 셔터를 누르는 건 유한과 무한, 세속과 영속의 두 심연을 오가는 행위처럼 해석된다. 그의 풍경 사진이 단순히 미적으로 아름다움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시간의 퇴적(사막), 삶의 흔적(빌보드), 빛(야광 테이프 래핑)을 염두하는 건 삶의 찬란과 비참을 동시에 사유한 결과일 것이다.

 class=
NV2482, 2022 80x120cm, Archival Pigment Print, Ed. of 10+2AP. ⓒKim Woo Young

신비, 꿈, 마법은 현실과 비현실, 자명한 사실과 불확실성, 즉 빛과 어둠의 동시적 긴장관계에서 생겨난다

-파트릭 모디아노, 『잠자는 추억들』

어떤 꿈이나 초현실이 삶과 연결되는 방식은 정확히 두 세계가 나누어지는데서 생기는 게 아니고 두 개가 어렴풋하게 겹쳐지는데서 생긴다. 그래서 꿈은 현실의 변형처럼 보이고 현실은 꿈을 속재료 삼아 발현되는 것이다. 풍경은 과거의 꿈과 삶이 뒤범벅된다. 가장 뜨겁고 환한 낮에 별이 보이지 않아도 안심하듯 파도 많은 밤에 섬이 보이지 않아도 순한 잠을 자듯. 절해처럼 그렇게. 풍경은 놓여 있고 삶은 계속된다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금호영재콘서트, 박서윤 기타 독주회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금호아트홀 연세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지하 1층 금호아트홀 연세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13,000원

문의: 금호문화재단 02-6303-1977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제2회 리즌콰이어 정기연주회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꿈의숲아트센터 콘서트홀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월계로 173 북서울 꿈의숲아트센터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무료

문의: 김보연 son5gongcap@naver.com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2025 예술의전당 〈SAC 오페라 갈라〉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예술의전당 [서울] 오페라극장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예술의전당

장르: 뮤지컬/오페라

가격: R석 130,000원 / S석 90,000원 / A석 60,000원 / B석 30,000원 / C석 10,000원

문의: 1668-1352

내용: 2025 예술의전당 여름시즌을 화려하게 마무리할 SAC 오페라 갈라!한 자리에서 만나는 관객들이 사랑하는 푸치니와 베르디의 오페라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2025 서울시향 실내악 시리즈 IV: 윤 젱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예술의전당 [서울] IBK기업은행챔버홀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예술의전당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R 70,000원 S 40,000원 A 10,000원

문의: 서울시립교향악단 1588-1210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이찬미 귀국 반주 리사이틀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예술의전당 [서울] 리사이틀홀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예술의전당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30,000원

문의: 070-4110-8290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소프라노 라하영의 힐링콘서트 - 울림

기간: 2025년 08월 23일 ~ 2025년 08월 23일

장소: 디크레센도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무료

문의: 디크레센도 070-4639-2200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한솔 귀국 플루트 & 피콜로 독주회

기간: 2025년 08월 24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예술의전당 [서울] 리사이틀홀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예술의전당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20,000원

문의: 위드클래식 070-4324-6360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2025 보훈무용제 '무색(舞色)-춤의 빛깔'

기간: 2025년 08월 24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나루아트센터 소공연장

주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76 나루아트센터

장르: 무용/발레

가격: 전석 20,000원

문의: 사무국 02-588-4262/010-9299-2576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양희진 해금 독주회: 해금 현대음악 사용설명서

기간: 2025년 08월 24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국립국악원 우면당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64 국립국악원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20,000원

문의: 050-5008-0486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제12회 New Artist Concert

기간: 2025년 08월 24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꿈의숲아트센터 콘서트홀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월계로 173 북서울 꿈의숲아트센터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무료

문의: 안지연 010-9992-6304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청춘의 향연, 영 아티스트 시리즈: 비올리스트 이제연, 피아니스트 전현진

기간: 2025년 08월 24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콘서트홀 나누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로 66 (망원동) 지하1층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25,000원

문의: 010-3886-9312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최승규 더블베이스 독주회

기간: 2025년 08월 24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금호아트홀 연세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지하 1층 금호아트홀 연세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20,000원

문의: 지클레프 02-515-5123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이홍섭 피아노 독주회

기간: 2025년 08월 24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금호아트홀 연세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지하 1층 금호아트홀 연세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20,000원

문의: 예인예술기획 02-586-0945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제10회 문록선 해설과 함께하는 플루트 앙상블 아디나 정기연주회

기간: 2025년 08월 24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예술의전당 [서울] IBK기업은행챔버홀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예술의전당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R석 30,000원, S석 15,000원

문의: 예인예술기획 02-586-0945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쇼팽, 리스트 그리고 파가니니

기간: 2025년 08월 24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예술의전당 [서울] 콘서트홀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예술의전당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R석 100,000원, S석 80,000원, A석 60,000원

문의: 스톰프뮤직 02-2658-3546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세계무용연맹한국본부, 라이즈 댄스 페스티벌: 탄츠올림프 아시아 갈라

기간: 2025년 08월 24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59 국립극장

장르: 무용/발레

가격: 전석 50,000원

문의: 02-2280-4114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제5회 음대생 연합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C.O.M.S Symphony Orchestra

기간: 2025년 08월 24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마포아트센터 아트홀맥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대흥로20길 28 마포아트센터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전석 20,000원

문의: 010-6697-0929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늘휘무용단 30주년 기획공연, 배진일의 춤: 농 (濃)

기간: 2025년 08월 24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남산골한옥마을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34길 28 남산골한옥마을

장르: 무용/발레

가격: 전석 30,000원

문의: 서울남산국악당 010-8529-0322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서울] (8.24) 트리오 베스페로 정기연주회

기간: 2025년 08월 24일 ~ 2025년 08월 24일

장소: 예술의전당 [서울] 리사이틀홀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예술의전당

장르: 음악/콘서트

가격: 일반석 2만원

문의: 지클레프 02-515-5123

관련 링크: 관람URL

포스터 이미지

[지도에서 보기]


반응형